2025/07/14 3

교육 공간으로서의 도심 수직 농장

디지털 세대 아이들에게 ‘자연’을 가르치는 새로운 방식 오늘날 아이들은 ‘자연’을 화면 너머 영상이나 그림으로만 접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스마트 기기와 도시적 생활환경 속에서 대부분의 아이들은 흙을 밟고 식물을 가꾸는 경험 없이 성장하며, 식량이 어떻게 생산되는지에 대한 감각조차 희미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현실은 식품 소비에 대한 책임감 부족, 환경문제에 대한 무관심, 생명에 대한 거리감을 초래할 수 있다. 실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절반 이상이 “상추가 땅속에서 자란다”라고 응답했다는 사례도 있을 정도다. 그만큼 도시 아동에게 농업은 낯선 주제이며, 실질적 교육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하지만 도심 내에서는 농지 확보가 어렵고, 계절·날씨 등의 제약도 커서 전통적인 방식..

대한민국 도심 수직 농장의 현재와 미래

대한민국 도심형 수직 농장의 현재: 확산 초기 단계의 가능성 대한민국은 급격한 도시화, 농촌 고령화, 기후 변화, 식량 수입 의존도 증가 등의 복합적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도심형 수직 농장’은 공간 효율성과 식량 자급률 향상 측면에서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스마트팜 기술 발전과 함께 그 가능성이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주로 공공기관이나 지자체 주도 하에 수직 농장 시범 사업이 진행 중이다. 예를 들어 서울시는 시청사 지하공간에 소규모 스마트 수직 농장을 조성하여 친환경 채소를 생산하고 있고, 경기·충남·전남 등 일부 지자체에서도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실내농장 보급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 민간에서는 스타트업 ‘엔씽’, ‘그린랩스’ 등이 컨테이너..

도심 수직 농장의 미래 시나리오

도시 농업의 진화: 왜 수직 농장이 핵심이 되는가? 기후 변화, 식량 위기, 에너지 불안정성, 팬데믹 이후의 공급망 충격 등은 전통적인 농업 시스템이 도시를 안정적으로 지원하기 어려운 구조임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이에 따라 도시 내부에서 직접 식량을 생산하고 공급하는 도시 농업의 중요성이 전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과거 도시 농업이 공동 텃밭이나 옥상 정원 수준에 머물렀다면, 앞으로는 고도화된 기술 기반의 수직 농장이 그 중심에 자리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직 농장은 실내 공간에서 환경을 정밀하게 제어하면서 식물을 재배하는 시스템으로, 토지 부족, 기후 제약, 노동력 감소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평가받는다. 10년 뒤에는 이러한 수직 농장이 지금보다 훨씬 더 고도화된 디지털 기..